- 대학의 발전비전
- 지역사회와 세계를 변화시키는 기독교 대학
- 대학의 교육목표
- 기독교 세계관과 창의적 지식을 갖춘 실천적 인재 양성
- 인재상
- I+(아이플러스) 미래인재 양성
- 직업 이전에 성경정 인성(心)을 갖춘 인재 / 공동체적 협업(協) 태도를 갖춘 인재 / 창의적 도전으로 변화(創)를 선도하는 인재
- 7대 핵심영량
- 인성 / 의사소통 / 지식융복합 / 협업 / 글로벌 /문제해결 / 개척·도전
- 교육체계
- I+(아이플러스) 미래인재 양성을 위합 Hit 교육체계 강화
- 교육 체계 세부 목표
- Human Science 인문적 학문 기초력+ 교육 / integration 지식 융복합·통섭력 교육 / Thinking 창의적 문제해결력 교육
- 전공교육 목표
- I+ 미래인재 양성을 위한 전공교육 Hi+T 교육체계 강화
- 세부사업
- 전공기초 강화 / 전공지식의 융합적 확장 / 실무적 문제해결역량 강화
- 주요사업
- ‘2+15+2’ 프로그램 I+ 미래직업인 교과 운영
- 전공트랙제도 I+(아이플러스) 학기제도
- Project Based Learning 교육
- 동아시아 취창업 인턴십
- 현황분석 및 진단
- 학생 간 전공기초 격차 감소
- 직업인으로서의 소양 교육 부족
- 융복합 교육 기반 완성
- 융복합 교육과정 고도화 필요
- 문제해결역량 강화
- 문제해결역량과 취창업 연계 필요
학과(전공) 소개
1995년 전자계산학과(주간) 50명으로 출발하여 1996년 전자계산학과 야간도 설립하였다. 1998년 학부제 시행으로 정보과학부 내에 컴퓨터과학전공으로 바꾸고 2006년 다시 학과로 분리되면서 컴퓨터학과로 학과명을 변경하였다. 2017년도에 시대적 환경과 수요자의 요구를 반영하여 융합소프트웨어학과로 변경하였다. 그동안 많은 IT 인재들을 양성하여 산업계 각 분야에 진출시켰다.
교육목표
- 웹 개발, 모바일 앱, 정보보안, IoT, 인공지능, 융합 SW에 특성화된 IT 엔지니어 육성
- 창의성과 협업 능력을 갖춘 인재 육성
- 체계적인 실습교육을 통한 실무형 인재 양성
인재상
-
- 인재상
- 창의적 IT 융합 엔지니어
-
- 인재상의 뜻
- 정보화 및 융복합 시대를 선도해 나갈 수 있는 창의적인 IT 엔지니어
실천방안
- 4차 산업에 부응하는 새로운 분야 활성화와 과목마다 실무위주 프로젝트 수행을 통한 전공교육 강화
- 현장실습과 연계를 통한 실무적이고 창의적인 융복합 능력 배양
- 선후배간 스터디그급 활성화와 졸업생 전문가 참여 팀티칭 운영
- 경진대회 지원과 산업체 전문가 특강 활성화
주요영역(세부전공 및 핵심교과목)
웹 개발
웹 서버와 웹 클라이언트를 개발하기 위한 웹 프로그래밍을 학습 한다.
모바일 앱
스마트폰이나 웨어러블 장치에서 수행되는 응용프로그램을 작성하는 것을 학습한다.
정보보안
네트워크 구조, 암호의 원리와 응용, 보안 솔루션의 구성 등 보안에 필요한 것을 학습한다.
IoT 분야
IoT 관련 센서 프로그래밍과 네트워크 프로그래밍에 대해 학습한다.
인공지능
인간처럼 컴퓨터에게 지능을 부여하기 위한 방법을 공부한다. 자연어처리, 이미지처리, 추론, 머신러닝 등을 학습한다.
융합 SW분야
제반 산업과 IT산업과의 융합에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기 위한 프로그래밍을 학습한다.
졸업 후 진로
졸업 후에는 주로 IT관련된 기업체, 각 기업 및 정부 출연 연구소, 소프트웨어‧게임 전문 개발 회사, 정보 보안 업체, 각종 기업체의 전산실, 컴퓨터 컨설팅, 강사, 전산직 공무원 등으로 취업하거나 벤처 기업을 창업 할 수도 있다.
자격증 종류 및 취득방법
필수과목이수
자료구조, 알고리즘, 운영체재, 정보통신, 데이터베이스 등
관련자격연수
정보처리기사, 리룩스마스터, 네트워크관리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