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nctId=linkprof,fnctNo=7 학과장 변진욱 교수 최종학위공학박사 세부사항 보기 전공분야 네트워크 보안 및 정보보호 연구분야 네트워크 보안, 정보보호 프로토콜, 암호학 고려대학교 전산학과를 졸업하고 정보보호대학원에서 정보보호 전공으로 석사, 박사를 취득하였다. 2006년 박사 취득 후 연구재단 지원으로 런던대학 RHUL ISG 에서 박사 후 연수를 수행하였으며 2008년에 평택대학교에 임용되었다. 임용 후 네트워크 보안, 정보보호 이론 및 응용 교육을 통해 수요자 중심의 경쟁력 있는 4차산업 정보통신 인력 양성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 또한 4차 산업시대의 핵심 보안 기술인 물리복제방지기술 (PUF), Internet of drones (IoD) 보안, 블록체인 보안, 센서네트워크 보안 분야에서 정보보호 프로토콜 및 관련 암호 이론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이경희 교수 최종학위전산학박사 세부사항 보기 전공분야 컴퓨터통신 연구분야 인터넷 정보서비스, 초고속 네트워킹, 신경회로망 최적화 등 경북대학교 전자공학과를 졸업하고 충남대학교에서 전산학 박사Ph.D.를 취득하였다. 평택대학교에 임용되기 전까지 대덕연구단지내 국책연구소인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의 선임연구원으로 14년간 근무하였으며 국가차원의 정보통신망기술에 관련된 초고속정보화 시범서비스기술개발, B-ISDN광대역종합통신망 프로토콜 시험기술개발, 전보자동화 시스템개발, 네트워크서비스 변환장치개발 등의 연구 개발을 수행하였다. 주된 연구관심 분야로는 정보통신서비스기술, 초고속 네트워크프로토콜, 네트워크 트래픽제어 및 신경망에 의한 최적화 등이다. 문필주 교수 최종학위공학박사 세부사항 보기 전공분야 정보통신네트워크 연구분야 초고속가입자망 기술, 통신망보안, 모바일 앱, 머신러닝 등 숭실대학교 전자계산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통신망보안 및 정보통신네트워크를 전공하여 공학석사, 공학박사를 취득하였다. 졸업 후 1988년부터 2001년까지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에서 팀장-책임연구원으로 가입자망기술개발 사업 등 다양한 정보통신시스템 개발 및 과제 기획 업무 수행하였다. 2001년에 평택대학교에 임용되었으며 총장직무대리, 부총장, 기획조정본부장, 학술정보원장, 정보통신학과장, 주한미군연구센터 소장 등의 주요 보직을 역임하였다. 주요저서로는 “TCP/IP Protocol Analyzer Design & Development” 등이 있으며 연구관심분야는 초고속가입자망 기술, 통신망보안,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머신 러닝 등이다. 조석향 조교수 최종학위공학박사 세부사항 보기 전공분야 보안 연구분야 암호 프로토콜, 정보 보안, 센서 네트워크 이화여자대학교 수학과를 졸업하고, 12여년간 중앙교육진흥연구소에서 수학 참고서 편집 일에 종사하였다. 이후 서울과학기술대학교에서는 전산공학으로 공학석사를, 성균관대학교에서는 정보보호를 전공하여 공학박사를 취득하였다. 이화여자대학교와 오클라호마주립대학교에서 박사후과정 연구원으로 근무하였다. 2016년에 임용되어, IT공학기초 교양 교육, 웹프로그래밍 응용, 소프트웨어 개발방법론, 엑셀을 활용한 데이터 분석 교육을 담당하고 있다. 초기 연구 관심 분야는 키 관리 프로토콜 설계와 암호 프로토콜이고, 최근에는 센서 네트워크와 신호 처리에 관한 공동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이진 조교수 최종학위공학박사 세부사항 보기 전공분야 시스템반도체설계, 무선통신 MAC & PHY, 임베디드 시스템 연구분야 무선통신 디지털 설계, IoT 하드웨어 및 애플리케이션 개발 한국과학기술원(KAIST) 전기및 전자공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무선 통신 System on Chip(SoC) 개발 분야에 대한 연구로 석,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2009년부터 2017년까지 삼성전자에서 IoT/무선통신/Embedded system에 관한 다양한 연구 개발을 수행하였다. 3종의 IEEE 802.11 WLAN 칩 개발 과제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으며, 세계 최초로 스마트 TV용 Wake-on-WLAN 기능을 개발하여 양산에 성공하였다. MHL 국제 표준 기술 멤버로 superMHL 커넥터/케이블 표준 개발에 참여하였고, 삼성전자 프리미엄 TV용 광케이블 검증 임베디드 시스템을 개발하여 세계 최초 TV용 광케이블 양산에 성공하였다. 2018년 평택대학교 정보통신학과에 임용되었으며, 국책 연구소 및 회사와 최신 무선통신 기술의 디지털 하드웨어 구현에 관련된 프로젝트를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연구관심 분야는 IoT용 임베디드 시스템 설계 및 저전력 무선 통신의 프로토콜/알고리즘 개발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