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nctId=linkprof,fnctNo=21 학과장 정영선 조교수 최종학위문학박사 세부사항 보기 전공분야 아동발달, 유아교육 및 보육 연구분야 영유아 사회·정서 발달, 양육태도, 평가 척도 개발, 보육, 놀이 아동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을 위한 긍정적인 보육 및 양육 환경을 조성하는데 기여하는 연구에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져왔다. 구체적인 연구 분야는 또래관계, 사회인지 등과 같은 영유아의 사회·정서 발달, 부모의 양육태도, 평가 및 측정을 위한 척도 개발, 아동 보육, 영유아 놀이이다. 유진이 교수 최종학위교육학박사 세부사항 보기 전공분야 교육학 연구분야 청소년시설, 청소년심리, 다문화청소년 이화여자대학교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을 졸업하고, 미국 E. Michigan University에서 특수교육학 석박사과정을 수료하였고, 명지대학교 대학원에서 청소년지도학으로 교육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2005년부터 아동청소년교육상담학과 교수로 재직중이며, 현재 국제교류협력원 원장 및 다문화가족센터 소장을 맡고 있다. 학문적 관심분야는 청소년시설, 다문화청소년, 청소년심리 등으로 관련하여 다수의 논문 및 저서를 발표하며 연구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전경숙 교수 최종학위교육학 박사(Ph.D) 세부사항 보기 전공분야 교육사회학, 청소년 연구분야 청소년복지, 다문화, 아동복지 독일 베를린공과대학교(TU)에서 교육학 학사과정을 마친 후, 석사와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한국대학교육협의회,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을 거쳐 현재 평택대학교 아동청소년교육상담학과에 재직 중이다. 주요 관심분야는 다문화청소년, 학교 밖 청소년, 요보호아동 등 사회적 취약계층 아동청소년이며, 관련하여 다수의 논문 및 저서를 발표하고 활발한 연구 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김지형 조교수 최종학위Ph.D., Human Development and Family Science 세부사항 보기 전공분야 아동발달 연구분야 애착과 양육행동, 부모-자녀관계, 영유아보육⋅건강 학문적 관심분야는 생태학적 관점에 기반, 아동 발달 및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사회 맥락을 탐색하는데 있다. 구체적인 연구 분야로는 애착과 양육행동, 영유아 보육 및 건강, 사회⋅건강 불균형의 세대 간 전이, 아동기 경험과 이후의 발달적 적응 관계에 대한 종단연구 등을 포괄한다.